전체 글 205

[Multimedia] 저는 당신의 생각을 알고 있습니다.

문제를 보겠습니다. 주어진 파일을 다운 받으면 로고 하나가 나옵니다. hxd에서는 헷갈려서 binwalk를 써봤습니다. binwalk --ren-as=root logo.jpg EXIF로 된 파일을 볼 수 있었습니다. 그래서 exiftool을 이용해서 출력을 시켜 보겠습니다. 출력을 시켜주니 now_youre_thinking_with_exif라고 적혀있는 주석 값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. 그리고 hxd로 열어보니 동일한 값이 눈에 들어왔습니다.

CTF-D/Multimedia 2022.07.17

슬랙 공간 영역(Slack Space Area)

이번 시간에 공부를 할 개념은 슬랙 공간입니다. 슬랙 공간(Slack Space) 슬랙 공간은 물리적인 크기와 논리적인 크기 차이로 인해 낭비가 되는 공간으로써, 물리적으로는 할당된 공간이지만 논리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공간을 의미합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실제 포렌식 문제를 가지고 와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 (램 슬랙 참고!!) 디스크는 데이터를 섹터 단위로 읽고 쓰기 작업이 이루어지며 디스크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개의 섹터를 묶어서 한 번에 처리하게 끔 클러스터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. * 클러스터 : 여러 개의 섹터(512Byte)를 묶은 개념,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의 최소 단위로 사용 디스크는 섹터, 클러스터 단위로 입출력을 처리하지만 파일은 가변적이기 때문에 파일의..

[Memory] GrrCon 2015 #16

문제를 보겠습니다. 문제를 보면, 시스템에 원격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, 그 중 공격자가 원격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. 연결한 IP 주소는 무엇인가?? 결국엔, 클라이언트 원격 관리 서비스의 이름을 가진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데, 일단 팀뷰어를 가지고 원격을 접속하고, 또 프로그램을 실행한 것으로 보아 netscan 플러그인을 사용하겠습니다. volatility_2.6_win64_standalone.exe -f Target1-1dd8701f.vmss --profile=Win7SP1x86_23418 netscan 다양한 네트워크 흔적들을 보았을 때, 팀뷰어를 실행하고 난 후 프로세스들을 보면 outlook, mstsc 등등 있는데, mstsc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구성하는 터미널 클라이언트 원격..

CTF-D/Memory 2022.07.09